본문 바로가기

어웨이크/박세니/책들의 정원

by 근사한 삶 2021. 1. 3.
반응형

어웨이크

박세니

책들의 정원

2020/12/30 발행



내 안에 잠든 무한한 가능성을 깨워라

17년간 24000건의 사례로 증명해낸 놀라운 변화

실전심리 트레이너가 밝히는 '잠재력의 기적"

 

 

 

 

박세니

 

박세니 대표는 직장인,수험생등 고강도 스트레스에 직면하는 현대인을 위한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했다. 기업 고위 경영진, 상의 1%세일즈맨, 프로 운동선수 등이 먼져 면담을 청하는 국내 최고의 성공심리학 전문가로 유명하다.

 

 

 

 

 

차례

추천사의 말

성공하려면 '나'를 믿고 세상앞으로 걸어나가라

들어가는 말 마음이 모든 것을 지배한다

 

1장 한계limit

 

세상은 온통 힘든 일로 가득하다

누가 내 머릿속을 은밀히 조종하는가

노동과 운동의 차이

고스펙자가 저소득층이 되는 이유

대통령의 사주를 타고난 청소부

 

2장 발견discovery

 

자신에 대한 확신을 얻는 방법

나는 재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세상에 나를 알려라

 

3장 믿음belief

 

감정에 흔들리지 않으면 목표도 흔들리지 않는다

시간이 지나도 굳은 의지를 유지하는 사람들

인생을 바꿀 3번의 기회

누구나 후광효과를 누릴 수 있다

'성공형 캐릭터' 에 대한 선입견을 깨자

하버드가 75년의 데이터로 증명한'인생의 목표'

나는 어떤 사람들에게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가

 

4장 자각 awake

 

나 자신과의 대화

한 지점에 모든 힘을 집중시키는 기술, 루틴

성공을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지식

내면에서 흘러나오는 카리스마

"나는 특별한 사람이야"

운에 맡길 것인가,운을 지배할 것인가

넘어졌을때 잠시 되돌아보야 할 것들

 

 

 

 

 

*자신의 잠재력을 꺼내는 방법을 몇 가지 더 이야기해보자면, 힘들 때 마다 자신의 좋은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상상을 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다. 

 

*어려운 일이라고 느껴질수록 그 능력이 현재는 유전자 속에 잠들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유전자의 잠재된 능력이 활성화되려면 충분한 시간과 지속적인 자극이 필요하다.

 

 *잠재력은 고통 속에서 단련이 되지만 그 후에 얻는 보상은 모든 고통을 상쇄할 만큼 달콤하고 큰 법이다.

 

*공언이 꼭 나쁜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역량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동료나 주변 사람에게 말해봤자 보통 비웃음을 당하거나 기가 꺽이게 될 수도 있다. 그러니 필요한 지식과 준비를 어느 정도 갖추고 공언을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잠재력을 더욱 잘 발휘하고 싶다면 항상 일을 할 때 "난 이것을 정말 좋아한다."는 생각과 마음가짐으로 일을 해야 한다. 

 

*학습된 무기력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은 도서관에 가서 책을 보는 것이다. 심리학책을 볼 필요도 없다. 그냥 훌륭한 인물의 전기만 꼼꼼이 살펴봐도 그 대단한 사람들이 어릴 적에는 얼마나 평범했는지 그리고 그의 상황이 당신이 처한 상황보다 더 끔찍하고 무기력감을 주는 상황이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독서는 재화 창출의 기술이다

점차 책을 읽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다. 그 진정한 이유는 독서가 재화 창출의 중요한 기술이라는 것을 알려주거나 보여준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뛰어나야만  성공한다는 믿음은 성공을 이루는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성공한다는 믿음은 성공을 이루는 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재능은 생각보다.매우 과대평과된 부분이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안다는 것은 줄줄 입으로 말 할 수 있고 글로 표현할 수 있어야 진정한 앎, 지식이 된다는 것이다.

 

 

 

박세니마인드코칭대표의 새 책 어웨이크 출판 기념일에 코로나를 뚫고 행사에 참여 했다.
직접 박세니 대표를 만나 보고 사인도 받아 보고 싶었다 역시 잘 갔다 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잠재의식힘은 어디까지인가 나의 잠재 의식을 깨우는데 많은 도움이 된 책이다 소장하고 두고 두고 읽으려 한다. 

 

 

반응형